글 : 가와토코 무츠오 (일본 中近東문화센터 주임연구원)

 

아라비아세계는 유라시아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이 만나는 지역이다. 그리고 인도양과 동지나해를 둘러싼 세계와 지중해 세계가 교류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지구의 역사 속에서 태어난 로라시아 대륙과 곤도와나 대륙이라는 다른 자연환경을 기원으로 하는 두개의 대륙, 세계가 서로 부족한「상품」을 상호 보완하는 형태로 교역이 시작되어 사람의 이동ㆍ교류가 시작되었다. 그 중에서도 아라비아 반도와 그 주변은 고대 이래 두 대륙의 교류점인 동시에 두 해역세계의 교류점이었다. 사람들은 남과 북, 그리고 동과 서를 이동하면서 서로에게 부족한「상품」을 교환했던 것이다.

 

배를 이용한「상품」의 이동

 

이동에 있어서는 육로와 바다 그리고 강이 이용되었다. 육지 실크로드의 주역은 낙타였고 바다 실크로드의 주역은 배였다. 즉, 동물을 이용한 이동방법과 배를 이용한 이동방법이 있었다. 각각의 이동방법에는 제각기 이점이 있지만 양자가 공존할 경우에는 배가 보다 효율적이다.
육로에는 마을과 마을의 경계, 도와 도의 경계, 국경과 같은 여러 경계가 존재하지만, 해로는 항구에서 항구로 한번에 이동할 수 있다. 육로를 이동하는 경우와 달리 전혀 다른 문화권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항구 쪽도 전혀 다른 언어, 문화를 받아들여 공생하는 태세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가 대량으로, 동시에, 정기적으로「상품」을 이동시키는 장치였던 것이 매우 중요하다. 1915년의 중량환산표(이집트)에 따르면 1힘르(1마리의 낙타가 운반하는 짐의 중량)는 249.6 킬로그램이었다. 인도양 세계의 원격지 교역에 사용된 이슬람 범선 다우는 그 크기 면에서 다양하지만 에도시대의 센고쿠부네(千石船)와 비슷한 150톤 정도의 다우를 예로 단순 계산하면 150톤의 뱃짐을 낙타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600마리의 낙타를 필요로 한다. 
당연한 일이지만, 장거리의 경우 수하물의 무게는 줄일 수밖에 없으며, 예비낙타, 생활필수품의 수송도 필요하다. 따라서 낙타의 짐은 엄선해서 싣게 되지만, 배에는 고가품뿐만 아니라 염가의 물건도 실을 수 있었다. 10세기 전반에 터키의 셀체ㆍ리마누 앞바다에 침몰한 배에서는 배의 바닥짐으로 실린 염가의 유리조각(용해해서 유리그릇을 재생산한다)이 다량으로 발견되었다. 일본에서도 홋카이도에서 다량의 세토나이(瀬戸内)의 스가메(酢甕:식초를 넣는 항아리)나 돌이 발견되는 것은 같은 이유에서이다.
범선은 계절에 따라서 변화하는 풍향을 이용해서 항해했다(계절을 의미하는 아라비아어 머심(mausim)에서 계절풍을 의미하는 몬순이라는 영어단어가 생겼다). 바람과 조수(潮水)의 흐름에 큰 영향을 받았던 것이다. 인도양에서는 10월경부터 3월에 부는 북동 몬순을 타고 동쪽에서 서쪽으로 4월~5월과 8월~9월에 부는 남서 몬순을 타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항해했다. 남 홍해에서는 1월~2월에 남쪽에서 북쪽으로 5월~9월에 북쪽에서 남쪽으로 항해했다. 그리고 지중해에서는 5월~10월에 북쪽에서 남쪽으로 4월~5월과 10월~11월에 남쪽에서 북쪽으로 항해했다.

 

항구를 중심으로 한 문화의 교류

 

배가 항구에 도착하는 계절이 되면 상인ㆍ수송업자들이 항구에 모여 각 도시로 통하는 길들이 활발해졌다. 시나이반도 남서부의 항구도시 투르ㆍ키라니 유적에서는 배가 도착하는 계절에 낙타를 데리고 모인 상인ㆍ수송업자들이 남긴 것으로 보여지는 수많은 취사 흔적과 낙타의 배설물이 발견되어 예전의 번창함을 보는 듯하다.
짐을 싣고 내리는 일, 상거래는 시간이 걸리는 일들이다. 그리고 바람과 조수(潮水)는 사람의 뜻대로 되는 일이 아니다. 따라서 상인과 선원들은 한 항구에 장기체류하게 된다. 거기에서 다량의 물질문화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각종 정보가 교환되어 커다란 문화교류가 이루어진 것이다.
계절풍에 맞춰서 작물이 재배되고 제품이 제조되며 상품이 모여서 항구에서 항구로 이동되었다. 항구에 이르는 육로에도 계절마다 많은 사람과 상품의 흐름이 일어나고 항구에는 이문화가 공생하는 공간이 생겨났다.
이렇게 만들어진 상업의 길은 순례의 길로서 혹은 학자ㆍ학생이 스승을 찾아 편력(遍歷)하는 길로서도 이용되어 문화교류의 길이 된 것이다.

 

시나이반도 남서부의 유적들

 

여기서 우리가 1985년부터 발굴조사를 계속하고 있는 시나이반도 남서부(라야ㆍ투르 지역)의 라야 유적과 투르ㆍ키라니 유적을 비롯한 많은 유적들의 출토품을 가지고 이야기를 계속해 나가기로 하겠다.

시나이 반도 남서부에는 초기 청동기 시대 이후의 많은 유적들, 특히 4세기 초경에 이 지역이 초기 그리스도교 수도제도의 중심지가 되어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남부 중앙부 시나이 산기슭의 시나이 산(성 카타리나) 수도원과 해안부의 라이소우(라야ㆍ투르지역)에 성 요한 수도원을 건립 봉납한 시대 이후의 유적이 집중되어 있다.

키라니 유적의  북서 약15㎞에 위치한 나크스 산에는 7세기 경부터 현재에 이르는 약 1700점의 비문과 벽화가 새겨져 있다. 비문에 의하면 8~10세기에 이 지역을 통과한 무슬림(이슬람교도)은 나일 강 유역의 아스완이나 카이로 출신자, 홍해 연안의 수에즈(쿠루무즈)나 막카(메카) 출신자, 만안(灣岸)의 스위라흐 출신자 등이었다. 또한 키프로스, 크레타 등 지중해세계 출신의 그리스도 교도의 비문도 다수 있다. 이 지역을 무슬림과 그리스도 교도의 순례자들이 동시에 이용했던 것이다.
이 지역에 항구도시가 건설된 것은 6세기 경의 일이었다. 항구 도시 라야가 성 카타리나 수도원과 성 요한 수도원의 외항으로서 건설되었다. 12~13세기 경에 항구 도시 투르(키라니 유적)가 건설되고 14세기 후반에 재정비되어 홍해의 주요 항이 되었다. 16세기 후반 이후 주요 항의 자리를 수에즈에 빼앗기기는 하지만 투르항은 존속되어 수에즈 운하가 개통된 1869년 이후에는 이집트 홍해 쪽 입구의 역할을 하는 항이 되었다.

 

귀중한 향료ㆍ향신료

 

키라니 유적에서 발견된 수 천 장의 고문서(투르 문서)에 의하면 15~16세기의 투르 상인들은 카이로, 쥬다, 아단의 상인들과 서로 긴밀히 연락을 취해서 유향(사진①), 침향, 후추, 계피, 정향, 생강 등의 향료ㆍ향신료, 커피 등 지중해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들을 동(남)에서 서(북)로 운반했다. 그리고 때로는 디우 등의 인도 방면까지 진출했던 것이다.
유향은 오만의 즈파르 지방을 중심으로 아라비아 반도 남부에서 소말리아에 생육하는 유향나무의 수지로, 태우면 유백색의 연기가 난다. 구약성서 중에 신이 모세에게 전한 향 조제의 근간을 이루는 물건이다. 그리고 신약성서에 따르면 그리스도 탄생에 즈음하여 방문한 동방박사 중 한 사람이 신성의 상징으로 지니고 있었던 것도 유향이었다.
동방교회에서는 성립 이래 현재까지 유향은 미사에 빠질 수 없는 물건이었는데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도 15세기 경부터는 필수품이 되었다.
고대 이래 귀중히 여겨진 유향은 종교의식과의 관련뿐만 아니라 일반용 훈향, 의약품으로서도 소중히 사용되었다. 이슬람 세계에서도 압바스조시대 (8~13세기)부터 식사 후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 피운 낫드향의 주요 구성물 이었다. 또한 염증을 억제하는 약품으로서의 효과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서 한방약으로 다용되었으며 일본에도 고대에는 전해졌었다. 투르항에서는 예멘 남동부의 시힐항에서 보내진 유향이 대량으로 양륙되어 유향을 피우기 위한 향로가 다수 들어왔다(사진②).
인도나 동남아시아에서 생산되는 후추를 비롯한 향신료ㆍ향료는 14~15세기에는 홍해, 만안을 경유해서 베네치아로 들어와 거기서부터 전 유럽에 운반되었다. 이 후추의 직수입을 목적으로 지리상의 대발견의 시대가 시작되었던 것이다.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도자기

 

출토 유물을 보면 중국 도자기, 동남아시아의 도자기, 인도의 염색물, 유리제품의 팔찌 등, 동방에서 들어온 상품이 시대를 내려갈수록 그 양이 많다.
9세기 이후 라스터 채도기(彩陶器)를 만들어내며 화려한 전개를 이룬 이슬람의 도자기 역사 속에서 중국 도자기는 항상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만안을 경유해서 최초로 중근동 세계에 들어온 당나라의 백자를 보고 사람들은 충격을 받아서 도자기를 높은 온도로 구우면 적갈색이 나는 것을 하얗게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백유도기(白釉陶器), 다채유도기(多彩釉陶器), 남채도기(藍彩陶器), 라스터 채도기 등 색상이 선명한 도기가 제작되었다.
10세기 후반 이후 만안 루트에 비해 홍해 루트가 우세해지자 월주요청자(越州窯靑磁), 13세기 경부터는 용천요청자 (龍泉窯靑磁), 15세기 이후는 다량의 소메츠케(남빛무늬를 넣어 구운 자기. 사진③), 아카에(자기의 적색을 주로 한 도자기)가 들어왔다. 청자는 모방되어 다량의 청유(靑釉), 녹유(綠釉), 갈유(褐釉) 등의 단색유 도자기가 만들어졌다. 그리고 쌍어문청자(雙漁文靑磁, 사진④)의 문양을 모방한 복사품이 만들어졌을 뿐만 아니라 맘르크조시대의 스그라피트(화장토(化粧土)를 긁어내는 기법, 사진⑤)도기의 문양에도 도입되었다.
중국에서는 코발트를 중근동에서 수입해서 회청(回靑)이라고 이름 붙였다. 이것을 안료로 문양을 채색한 것이 소메츠케다. 이 기법은 이슬람 도기에서도 이용되었지만 우량품은 만들어내지 못하고, 15세기 이후 방대한 양의 소메츠케가 중국으로부터 중근동, 지중해 세계에도 들어오게 되었다.
위의 여러 가지 도자기들, 인디고 염료, 10~11세기 경의 인도의 염색물, 16~18세기의 인도의 유리로 만든 팔찌 등이 아덴, 아이자브, 쿠사일, 키라니 등 홍해 연안의 여러 항구 도시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다.
그리고 15세기 경 이후에는 지중해세계, 유럽에서는 성 카타리나 수도원 순례가 활성화되어 다수의 유럽 도자기가 투르항에 들어왔다. 키라니 유적에서는 키프로스의 스그라피트 도기, 이탈리아 파엔짜의 백지남채도기(白地藍彩陶器, 사진⑥) 등이 다수 발견되었다.

 

아라비아 세계와「바다의 실크로드」

 

한편, 서에서 동으로 이동된 이슬람 세계의「상품」사정은 그다지 분명치 않다. 카이로 게니자 문서(10~13세기 중심)나 송서(宋書, 1345년 완성)에 의하면, 바다 길을 통해서 중근동지역에서 중국에 상아, 유향, 도기 등 여러 가지 상품과 함께 유리병에 든 백설탕, 유리병에 든 장미수 등이 들어오고 인도차이나 반도의 참파(Champa)를 경유해서 유리병에 든 석유도 들어왔다.
그런데 실제로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이슬람 도기, 이슬람 유리 등의 보고 예는 극히 한정되어 있다. 중국 섬서성(陝西省) 부풍현(扶風縣)의 법문사지궁(法門寺地宮, 9세기 후반, 사진⑦), 하북성(河北省) 정현(定縣)의 정지사(靜志寺) (10세기), 일본의 토우쇼다이지(唐招提寺)소장 사리 항아리(8세기로 추정) 등, 후세에 전해진 이슬람 유리그릇 이외에서는 베트남의 크라오챰 유적의 유리그릇 조각(9~10세기), 후쿠오카의 고로캉(鴻臚館)유적의 이슬람ㆍ이란 도기와 유리그릇 조각 등 (9~10세기) 얼마 안 되는 출토 예를 들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이 시대 이후 이슬람 세계와 아시아의 관계는 더욱더 긴밀해져서 인도는 물론 수마트라 북부, 중국 복건성(福建省) 천주(泉州) 등지에 무슬림의 거주지가 생겨서 보다 많은「상품」과 사람이 왕래했던 것이다.

 

10세기에 지리학자 이븐 하우칼이 증명한 세계를 이슬람 상인들과 여행가들은 상품과 지식을 찾아다녔고, 아라비아 세계에 가지고 왔다 (사진⑧). 그리고 인도 상인, 중국 상인들과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아라비아 네트워크를 만들어냈다. 유럽세력이 인도양을 제압한 16세기 전반까지는 아라비아세계를 중심으로 한 평화로운「바다의 실크로드」가 기능했던 것이다. 금후의 정밀하고 치밀한 발굴조사와 유물연구는 아라비아세계의「상품」이 이룩한 문화교류의 실태를 분명히 하는 것이 될 것이다.

 

 

 

 

 

--------------------------------------------------------------------------------------------------------------

 

가와토코 무츠오 

와세다 대학 대학원 고고학 전공 박사과정. 1972년 이집트로 유학, 이후 와세다대 고대 이집트 조사대에 참가. 78년부터 푸스타트유적 발굴조사를 개시, 85년부터 투르 유적을 비롯한 시나이반도 남서부의 여러 유적의 발굴조사를 계속한다. 2001년 이집트ㆍ시나이반도 남서부의 암벽에서 아라비아 문자 등 1710점의 비문이 남겨진 세계 최대급의 비문을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