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花びら餠(하나비라모치) | |
|
히시하나비라의 역사를 더 거슬러 올라가면「齒固(하가타메)」와의 연계도 생각해볼 수 있다. 齒固(하가타메)란 나이를 굳힌다는 뜻으로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猪(이노시시:멧돼지), 鹿(시카:사슴), 大根(다이콩:무우), 瓜(우리:오이), 押鮎(오시아유:은어 절임) 등의 딱딱한 음식을 먹는 행사이다. 히시하나비라는 하가타메가 의식화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고 여겨지는데 우엉은 오시아유를 대신하는 음식으로, 미소는 雜煮(조니:일본식 떡국)의 의미를 담아 넣었다고 한다. 또, 陰陽道(온요우도:음양도)*2의 해석에 의하면 히시하나비라의 모양은 네모형과 둥근형의 합체로 천지, 즉 모든 만물을 포함하는 무한대의 우주를 상징한다고 본다. 따라서 자손번영과 태평성대로의 기원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유래를 가지고 있는 히시하나비라가 과자로써 만들어진 것이 메이지시대로, 裏千家十一世玄玄齊(우라센케쥬잇세이겐겐사이:우라센케 제11대)가 궁중에서 허가를 받아 初釜(하츠가마:새해에 처음으로 열리는 다도행사)에 사용한 것이 최초로 전해진다. 극히 제한된 사람들 사이에서 맛 보았던 히시하나비라가 하나비라모치라는 이름으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것은 매우 기쁜 일이다. 히시하나비라에 담겨져 있는 소원과 기원을 생각하며 하나비라모치를 먹으면서 새해가 밝아온 것을 축하하고 싶다.
* 1. “主君エ菱花ヒラ出ル”(貞治三年(1364년)正月朔日) “슈쿤헤 히시하나비라 데루 – 주군에게 히시하나비라를 바친다”라는 뜻으로 죠지3년(1364년) 음력 정월 1일에 쓰여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2. 陰陽道(온요우도) 고대 중국의 음양오행설에 근거한 속신. 일본의 행사나 달력에 영향을 미쳤다.
글과 사진을 제공해 주신 虎屋(도라야)와 나카야마 선생님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虎屋(도라야) 홈페이지로 바로가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