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이토 준코
올여름 21회를 맞이한 <2015 창무국제무용제>에서 야마다 세쓰코의 춤을 보았다. 세쓰코와는 오래 전부터 알고 지내던 사이로 지속적으로 연락해왔지만 그녀의 솔로공연을 보는 건 오랜만이었다.
야마다 세쓰코가 처음 창무춤터 무대에 선 것은 1986년 <창무아시아댄스페스티벌>에서다. 그녀는 외국인 참가 댄서 중에서도 가장 고참이었고, 그 후에도 그녀는 대한민국 무용계와 꾸준히 친분을 유지해왔다. 지금까지 그녀의 춤을 몇 번이고 접했지만, 이번 <2015 창무국제무용제>에서 본 그녀의 춤은 특히 훌륭했다.
본인도 만족스러웠는지 공연한 날 밤 세쓰코는 기분이 좋아 보였고, 평소 보다 훨씬 말 수가 많았다. 자신의 춤과 한국의 춤에 대해 열정적으로 이야기 했고, 특히 같은 날 공연한 김선미의 <볼레로>를 격찬하며 현대한국무용, 즉 한국창작무용은 이제 새 장을 열었다고도 했다.
'모든 것은 김매자로부터 시작되었어요.'
야마다 세쓰코의 이야기 안에는 그들만이 아는 김매자가 따로 있었다.
필자는 그것을 꼭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으며, 이웃나라의 무용가인 야마다 세쓰코가 바라 본 <김매자와 한국창작 춤 이야기>와 역으로 한국의 무용가 김매자가 바라 본 <야마다 세쓰코와 일본 춤 이야기>로 엮어나가고자 한다. 두 사람의 만남에는 30년의 역사가 있다.
두 무용가는 필자의 기록물제작 제안에 흔쾌히 찬성해주었다. 두 사람의 상호 인터뷰를 중심으로 풀면서, 주변 사람들의 인터뷰를 추가해 특별한 '한일교류 30년' 이야기를 만들려고 한다. 그 첫회는 김매자가 세쓰코를 초대하기까지의 이야기다.
일본은 멀고도 먼 나라였다
2015년 9월, 필자는 김매자를 인터뷰하기 위해 서울 잠원동 창무예술원 사무실을 찾았다. 필자에게 김매자가 있는 풍경은 항상 홍대 앞 또는 아르코예술극장이 있는 대학로였다. 필자가 김매자를 처음에 알게 된 것 역시 1993년 홍대 포스트극장에서 열린 일본부토페스티벌 때다.
그 때문인지 강남에서 그녀를 만다는 것은 뭔가 화려하면서도 평소와는 다른 긴장감이 있었다. 사무실에서 만난 김매자는 언제나 그렇듯 반가운 미소로 맞아주었다. 그러나 이야기를 시작하자 감미로운 환상은 순식간에 사라져버렸다.
'가까운 줄 알았던 일본은 그저 먼 나라였습니다.'
야마다 세쓰코와의 만남에 관한 인터뷰에서 가장 먼저 나온 이야기는 일본에 대한 실망감이었다.
'처음 일본에서 공연을 할 때였습니다.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대답하는 동안 저는 굉장히 슬펐습니다. 일본기자들이 이렇게까지 한국을 모르나? 대한민국은 무시당하고 있다. 한국무용은 커녕 이 사람들은 한국문화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다.'
김매자가 처음으로 일본무대에 선 것은 1988년에 개최된 <제1회 도쿄국제연극제>였다. 시부야에서 열린 도쿄국제영화제에 대항하여 이케부쿠로에서 출범한 이 연극제는 당시 일본 언론들의 높은 관심을 모았으며, 공연 한 달 전에는 외국 출연자들을 도쿄에 모아 기자회견도 가졌다.
'처음에는 문화부 기자라 그런가 싶었어요.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정치부 기자가 되고 싶어 하는데 그것이 안 되니까 할 수 없이 문화부 일을 한 기자들도 꽤 있었어요. 그런데 일본은 그렇지 않잖아요'
일본에 대한 첫인상은 한마디로 '큰 실망'이었다.
'우리도 일본에 대해 많이 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도 일제강점기를 경험해 기본적인 것은 압니다. 억압의 시대였다 하더라도, 경험했다는 것은 사실이니까요. 그런데 일본 쪽은 한국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다. 그게 충격이었어요'
자유와 호화스러움이 뒤섞인 버블시대의 도쿄를 상징하는 세계적인 이벤트로 들어 서는 초입에 한국의 무용가가 본 것은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무지와 몰이해였다. 돌이켜보면 한류 붐이 일기 전 일본의 한국에 대한 관심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사실 일본에 간 것은 그때가 처음이 아니었습니다. 그때보다 훨씬 전인 1968년에 한양대학교 학생들을 인솔해 간 적이 있었죠. 규슈대학교의 초대를 받았고요. 당시에는 배를 타고 가서 뱃멀미 때문에 엄청 고생했지만, 그 이외에는 괜찮았습니다. 교사로서 학생들을 인솔한 것이라 기분 나쁜 일도 특별히 없었고요. 그것보다는 일본의 발전상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우리나라와는 100년정도의 차이가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자회견장에서 속상한 마음을 안고 한국으로 돌아온 김매자는 연극제 일로 한 달 후 다시 일본에 가게 된다. 그곳에는 기자회견 때의 슬픔을 날려버릴 만한 좋은 만남이 기다리고 있었다. (이 이야기는 3회에서 이어가도록 한다) 김매자가 이런 억울함을 느낀 것은 단지 일본에서만이 아니었다. 이제 시간을 조금 더 거슬러 올라가 보려 한다. ( 다음 회에 계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