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이토 준코
전혀 다른 전통의 개념
1986년 창무 아시아 무용 축제를 계기로 야마다 세츠코는 매년 한국을 찾게 되었다. 고심 끝에 결정한 한국 공연, 거기서 얻은 것은 예상 외로 컸다.
"처음 본 한국 춤, 그 전통적인 기법이 이웃나라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줄 전혀 몰랐어요. 유럽에 갔을 때보다 훨씬 큰 충격이었습니다."
근대 이후 일본의 예술가들은 서양의 예술에 꾸준히 시선이 향해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유럽에서 보는 것들은 대략 짐작이 가능했다. 발견이나 놀라움도 예상 밖의 것은 아니다. '거기에 새로운 무언가가 있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시아는 달랐다.
김매자가 뉴욕에서 일본의 부토를 보고 놀란 것처럼, 야마다 세츠코도 서울에서 한국무용을 접하곤 충격을 받았다. 유럽보다 훨씬 가까운 같은 아시아권의 이웃이면서도 일본인도 한국인도 서로를 너무나 알지 못했다. 야마다 세츠코는 "애초에 일본과 한국에서는 '전통'에 대한 생각이 아주 다르다"고 했다.
"나를 포함한 일본 예술가들은 국가나 민족이라는 말에 경계심을 가지고 있으면서, '전통'이라는 것은 반역해야 할 대상이라고 여기죠. 그런데 한국에서는 민족은 둘도 없는 것이며 전통 속에서 항상 새로운 것이 생겨납니다. 전통인데도 아주 생생해요. 일본에서 생각했던 전통의 개념과는 전혀 다릅니다."
한국와 일본이 각각 전통의 의미를 다르게 가진 것은 양국의 역사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유교사상의 잘못된 인식과 일제강점기의 동화 정책으로 한국의 전통문화의 대부분이 사라져버렸다"고 김매자가 한탄하는 반면, 에도시대의 일본에서는 노, 가부키 등 대중 예능이 전성기를 맞았고, 메이지시대 이후에도 서양에 대항하기 위해 전통 문화는 국책으로 보호되었다. 거기에 일본 특유의 "종가 제도"가 개입되어 일부 전통은 권력화되었다.
야마다 세츠코 등 일본 아티스트에게 전통은 "싸우고, 넘어야 할 대상"이었지만 김매자에게 한국의 전통은 "찾아내고, 복원해야 할 대상"이었다.
김매자와 한국무용의 행보
여기서 김매자의 이력을 더듬으면서 한국무용의 역사를 돌아보고자 한다.
김매자는 1943년 강원도 고성에서 태어났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 군사분계선 근처에 있던 고향에서 가족과 함께 부산으로 피난하여 거기서 학교를 다녔다.
"당시 유행하던 창극에 푹 빠졌었습니다. 무대 배우가 되고 싶었어요."
당시 부산은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피난민들이 사는 곳으로, 그 중에는 무용가들도 있었다.
"부모님은 제가 무용을 하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하셨어요. 당시 한국에서는 노래와 춤을 배우는 것은 기생이나 할 짓이라 하더군요."
그런 부모를 설득하여, 고등학교 때부터 김매자는 본격적으로 무용을 배우게 된다.
"당시 제가 배운 것은 소위 말하는 '신무용'이었어요. 당시는 그 춤들뿐이어서, 그것이 전통무용이라고 생각했죠."
"신무용"이란 최승희의 춤을 계승한 무용을 말한다. 서울에서 태어난 최승희는 1926년에 15세의 나이로 도쿄에 건너가서 이시이 바쿠에 입문했다. 현대무용가로 유명했던 바쿠는 그녀에게 조국의 전통무용을 활용하기를 권했다. 그것이 해방 후 한국과 북한에서 "한국무용"으로 이어졌다.
"고등학교 때는 아무 생각 없이 <신무용>을 열심히 췄습니다. 그런데 서울에 올라와 대학교에서 배우면서 여러 가지 의문들이 생겼어요. 특히 어느 날 한 흑인 모던댄서의 춤을 보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 자연스러운 신체, 그 자체의 아름다움. 그에 비하면 당시 한국무용은, 그저 예쁘게 미소를 지으면서 화려하게 춤을 추는 것뿐이었죠. 이것으로는 내 감정을 전부 표현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김매자는 대학원에 진학한 1960년대 중반부터 한국 무용의 원류 찾기를 시작했다. 마침 한국 정부도 문화재 보존에 착수하여, 무형문화재 제1호에는 궁중무용 김천흥이 지정되었다.
"김천흥 선생님께 궁중무용을 배우고 또 한영숙 선생님께 승무와 살풀이를 배우는 등 최승희 이전의 전통무용을 지도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것만이 아니었어요. 한국무용의 뿌리는 더 깊었던 것입니다."
김매자가 특별히 주목한 것은 종교의식 속 무용이었다. 종교란, 오래 전부터 한국과 함께한 무속신앙과 불교이다. 어느 정도 그 형식이 보존되어 있었던 불교무용과는 대조적으로, 무당춤은 지역과 사람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했다. 김매자는 지방을 돌아다니며 숨어있는 민속춤을 찾아 다녔다. 이것은, 한국무용의 뿌리를 찾는 여행이었다. 단지 무용의 형식에 그치지 않고 한국인의 신체성과 정신성을 확인하는 것이 그녀의 관심사였다. 김매자는 이때 다른 분야의 학자들과 함께 "향토축제협의회"라는 단체를 결성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