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이토 준코
히지카타 타츠미의 어메이징 레이스
제1회 창무국제무용예술제"부토―세기말의 계보"(통칭"부토페스티벌")가 1993년 8월 20일부터 9월 4일까지 16일 동안 열렸다. 유럽에 비해 부토의 인지도가 훨씬 낮은 아시아, 그것도 일본 문화에 대한 저항감이 강했던 한국에서 "부토"에 한정된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는 것은 20여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생각해 봐도 아주 획기적 일이었다고 생각한다.
일본 측의 프로듀서 남상길은 "오오노 선생님의 공연 이외에는 객석이 텅 비면 어쩌지"라고 걱정했다지만, 사실 그보다 한국 측 주최자인 김매자의 부담이 더욱 컸을 것이다. 이번 취재를 통해서 새삼 그것을 깨닫게 되어 깊은 감동을 받았다. 이러한 용기 있는 개인의 선택이 쌓여서, 사회도 변화하고 역사도 움직인다.
축제의 첫날은 다음 날부터 펼쳐질 부토공연에 앞서서 부토의 창시자인 히지카타 타츠미 의 공연필름이 상영되었다. 영화 제목은 [보창단]. 1972년 가을부터 겨울까지 신주쿠에서 열린 연속 공연의 기록이었다. 이 연속 공연에는 무용가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의 아티스트나 일반 청년들도 많이 출연하였다. 이러한 전설적인 공연의 기록물은 일본에서도 공개된 바가 별로 없었는데, 이 때는 히지카타 부인의 호의로 특별히 해외 상영 기회를 얻었다.
한국 관객과 일본 스태프 모두 숨을 죽이고 지켜보는 가운데 상영이 시작되었지만 바로 이변이 전해졌다. '무슨 일이 일어났나?'하고 생각하는 순간 작은 목소리의 일본어가 들렸다.
"소리가 안 나와..."
무슨 이유에서였는지 필름의 음성 부분이 사라졌던 것이다. 소리 없이 흑백의 화면만이 담담하게 움직이고 있었다. 첫날부터 이게 무슨 일인지.. 불길한 예감이 들 무렵, 갑자기 어메이징 레이스가 들려오기 시작했다. 생전의 히지카타가 항상 들었다는 백 파이프의 무거운 소리가, 땅을 기듯이 꿈틀거리는 부토가들의 흑백 영상을 생생하게 부각시켰다.
그것은 마치 레퀴엠 같았다. 내일부터 새로운 부토가 시작된다.
영사기 고장이 불길하지 않았다. 축제 전야제에 잘 맞은 역전의 팡파레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이 바로 "부토적"인 오프닝이었다.
오오노 카즈오 와 소녀들
축제에 참가한 8팀 중 톱 타자는 오오노 카즈오였다. 공연제목은 [라 알헨티나 송]. 1920년대에 활약한 스페인의 무용가 라 알헨티나는 1929년에 도쿄 제국극장에서도 공연을 가졌다. 그것을 보고 감명을 받은 한 사람이 바로 당시 23세의 체육교사였던 오오노 카즈오 이었다. 그는 이 공연을 계기로 무용가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그 후 반세기가 지난 1977년, 라 알헨티나 는 다시 오오노 카즈오에게 강림하였다. 그때 이미 71세의 나이였던 오오노는 히지카타 타츠미의 연출로 [라 알헨티나 송]을 발표했고, 그것이 오오노의 대표작이 되었다. 이미 80년대에 유럽에서 큰 화제를 일으킨 이 작품이 일본 이외의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한국에서 선보이게 된 것이었다.
이날 오오노 카즈오의 춤은 압도적이었다. 조용했던 객석이 어느덧 환희에 휩싸였고 커튼 콜은 영원할 듯했다. 오오노는 커튼 콜 때마다 다시 한번 춤추고 우아하게 허리를 꺾어 인사를 했다. 오오노도 관객도 정말 행복해 보였다. "자기도 모르게 울고 있었다"라는 후일담을 전한 관객도 있었다. 당황스러운 일이었다. 이것이 "부토"인가? 한때 암흑 부토로도 불리던 시절의 그 암흑은 어디로 갔을까?
"한국만큼 춤이 사랑 받는 나라는 없는 것 같다"고 남상영은 말한다. 일본인과 한국인은 춤을 보는 시각, 아니 즐기는 방법이 차이가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우리 일본 스태프가 놀란 부분은 바로 관객층이 폭넓다는 것이었다.
첫날의 공연은 사전에 일찌감치 매진됐음에도 불구하고 당일 입장을 원하는 사람들도 많았고, 좌석이 없는 관객들이 무대 바로 앞이나 통로에 몰려들었다.
그 때 맨 앞줄을 차지한 것이 교복 차림의 여학생들이었다. 모두가 공책과 연필을 가지고, 오오노의 부토를 보고 있었다. 그들 중에는 무용과 학생뿐 아니라 그냥 신문을 보고 재미있겠다고 생각해서 온 중학교 1학년 남녀 학생들도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일본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당시 필자는 너무 놀라서 일본 친구에게 이렇게 써 보냈다.
"그나저나 50명이 넘는 중학생들이 손에 연필과 공책을 갖고 무대 위의 오오노 카즈오를 쫓으면서 열심히 무언가를 쓰는 모습은 압도적이었습니다. 사춘기 소녀들의 세계와 마주친 87세의 오오노 카즈오, 이것이 1993년 서울의 상황입니다"
첫날과 다음날 이틀 간에 걸쳐 진행된 오오노 카즈오 공연(둘째날은 오오노 요시토와 공연)은 아주 성공적이었고, 그 흥분은 서서히 확대되어, 마지막 날 야마다 세츠코의 무대까지 이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