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이토 준코
한국 무용의 뿌리를 찾는다
그런데, 민속문화의 연구라고 해도 학자와 아티스트는 접근방식이 다르다. 그 중에도 무용가는 특별하다. 무용가는 연구 성과를 책이나 캔버스에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신체를 통해 재현한다.
무용가 김매자의 작업은 민족의 전통을 신체화 시키는 일, 혹은 전통적 신체를 회복시키는 일, 이라고 표현해야 할 지도 모른다. 그것은 부토를 시작한 히지카타 타츠미가 일본적 풍경과 신체에의 회귀를 주창한 것과 통하는 점이 있다. 역설적으로 일본식 모던댄스의 영향을 받아 창조된 최승희의 "신무용" 과는 뿌리부터 구분되는 것이다. "한국 독자적인 문화가 사라져 가고 있는 시대에 이시이 바쿠는 굳이 최승희에게 한국 전통 춤을 배워 무대에 올리라고 했습니다. 그 자체는 고마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 춤은 어디까지나 일본식 모던댄스에 한국적 요소가 들어간 것일 뿐입니다. 너무나 힘든, 시대적 한계가 있었던 것입니다."
그 후 김매자는 '신무용'도 아니고, 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무용'
과도 다른 새로운 "한국무용"을 찾아내려 노력했다. 일본인들은 한국무용이라 들으면, 일본무용과 비슷한 이미지를 떠올릴지도 모른다. 그런데 실제 김매자의 한국무용을 본 일본인은 무척 놀란다. 그것은 매우 추상적이며 또한 한없이 자유롭기도 하다. 전통의 껍데기에서 벗어난 결과일까, 혹은 한국의 전통이 원래 자유를 내재하는 것일까?
"그것은 한국의 전통 속에 원래 있는 것입니다. 즉흥성과 자유로움은 한국 무용의 핵심입니다"
김매자의 대답은 명쾌했다.
김매자가 찾아낸 새로운 한국무용은 그 자유분방함 때문인지 당초 "서양의 모던댄스와 한국전통의 결합"이라고 표현한 사람도 있었다. 김매자가 한국 전통 버선을 벗어 던지고 맨발로 무대에 올랐다는 소식에, 스승인 한영숙은 "미쳤냐"고 한탄했다고 한다. 당시 한국무용의 주류에서 보면 김매자의 시도는 "마치 전통의 파격"처럼 보였는지도 모른다.
1976년, 김매자는 제자 5명과 "창무회"를 설립한다.
"창무회의 목적은 한국무용의 현대화였습니다. 예로부터 우리에게 전해져 오는 전통적 정신과 방법론을 가지고 현대를 표현하는 것. 컨템퍼러리 댄스로서의 한국무용이었습니다."
이렇게 한국무용은 새로운 무대를 만났다.
"그 시대"
이런 한국무용의 현재까지의 흐름에 대해, 최근에는 일본의 다양한 장소에서도 소개되기 시작했다. 2011년에는 교토조형예술대학이 『경계를 넘어서는 전통 ― 한국무용의 현장에서 "김매자의 작업"』이라는 제목으로 대규모 행사를 진행하여, 4개의 무용 공연과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기획의 발안자는 야마다 세쓰코였다. "한국 무용의 선구자적 작업"과 만난 충격, 그 대단함을 다른 일본인과도 공유하고자 하는 마음이었다.
"그 시대에 저를 한국으로 초청했어요. 우선 그것부터가 대단했다고 생각합니다."
이 심포지엄의 첫머리 인사에도 그랬지만, 야마다 세쓰코는 김매자와의 교류에 대해 이야기할 때, 반드시 "그 시대" 이야기부터 시작한다. 한국과 일본이 지금처럼 자유롭게 오가는 관계가 되기 전의 시대라는 의미이다.
야마다 세쓰코가 처음 한국을 방문한 1986년에, 아직 한국은 "민주화 이전"으로 언론과 표현의 자유에도 제한이 있었다. 연극 등에도 사전검열이 있었고, 내용에 따라서는 상연 허가가 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대본을 2개 준비했죠. 검열용 가짜 대본과 진짜 대본. 일단 허가를 받아놓고 대본을 바꿔 쓰고. 공연 중에는 우리도 긴장하고 관객도 긴장하고."
연극계 인사들과 얘기하다 보면 지금도 그런 옛날 이야기가 가끔 나온다. 그 중에서도 특히 엄격하게 제한된 것이 정부에 비판적인 것, 공산주의를 긍정적으로 다루는 것, 그리고 "일본 문화"였다.
이 연재 첫회에서도 언급한 바 있지만 일본제국주의에서 해방된 한국에서는 "일본 문화의 잔재를 일소하고, 민족성을 회복하는 일"이 가장 중요한 미션이었다. 국토에 배어 버린 일본을 씻어 내고 독자적인 민족문화를 키우는 것이 완성되기 전까지는 일분 문화 진입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 상당수 한국인들의 생각이었다.
일본 문화 개방 이전
그래서 1987년 민주화가 선포된 뒤에도, 일본 문화 개방에 대해서는 구체적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 일본문화의 단계적 개방이 정부방침으로 확인된 것은 10년 후인 1998년, 김대중 대통령 시대에 들어서면서부터이었다. 일본 영화·연극 등 광범위한 일본 대중 문화가 실제로 개방된 것은 2000년, 한일월드컵 공동 개최를 목전에 두고서부터였다.
이때 일본 문화 개방과 그 후의 한류 열풍을 거쳐 일본과 한국의 관계는 파격적으로 좋아졌다. 정치적 문제는 있지만, 사람들의 왕래가 활발해지자 문화에 대한 이해도 깊어졌다. 지금은 일본인이 무용이나 연극공연을 해도 특별한 이슈가 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1986년 야마다 세쓰코 이전에 한국에서 문화 활동을 한 일본인은 찾기 힘들다. 그런 의미에서 야마다 세쓰코는 선구자적인 존재이고, 그것을 기획한 김매자 역시 선도자였다. 같은 해 아시아대회 공식기념행사로 무대에 올린 일본극단 <스콧>도 첫 공식공연으로 주목 받았지만, 창무 아시아 무용제 또한 해방 후 한일문화교류사의 출발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야마다 세쓰코가 걱정한 것처럼 이 시기의 일본인 무용가 공연을 언짢아하는 사람도 있었다. 김매자의 귀에도 물론 그런 소리가 들려왔다. 그럼에도 그녀는 그 때부터 매년 일본인 무용가를 초청했고, 1993년에는 일본 부토 페스티벌이라는 일본만을 대상으로 하는 이벤트까지 개최하였다. "그 시대"에 왜 그렇게 까지 했는지? 김매자 이야기를 듣고자 한다.
|